-
[포스코x코딩온] AWS-RDS(관계형 데이터베이스)[포스코x코딩온] 웹개발자 풀스택 부트캠프8기 2023. 8. 15. 18:06728x90
AWS(Amazon Web Service)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 AWS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AWS 측에서 모든 것을 관리해주고, 개발자가 개발만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 종류
- Amazon Aurora
- MySQL 및 PostgreSQL 호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상용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가용성 및 안정성을 1/10 비용으로 제공
- PostgreSQL
-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기능이 제일 많고, 성능이 제일 좋다.
- Amazon Aurora
- 특징
- 관리 부담 감소
- 확장성
- 가용성 및 내구성
- 보안
- 관리 효율성
- 비용 효율성
AWS에서 DB 사용법
- EC2에 직접 설치
- 서버에 접속해 mysql 설치
-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의 업데이트와 관리, 백업 등을 모두 관리
- RDS 사용
- AWS에서 모든 것을 관리
- 데이터베이스 부분에 대한 모든 것은 신경 쓰지 않고 개발에만 집중
- 부가적인 요금이 발생하며 요금 예측이 어렵다
RDS 실행
현재 나는 MySQL을 사용하고 있으니 MySQL 선택 과금 방지를 위해 프리티어 선택~ 그 외의 설정을 하여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한다.
RDS 파라미터 그룹 편집
- RDS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구성을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정 모음
그룹 생성 편집에서 Asia/Seoul을 추가해준다. 다시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정을 눌러 방금 만든 파라미터로 변경한다. 바로 사용할 것이니 즉시 사용 클릭
인바운드 규칙 추가
이전 글처럼 추가해주면 된다.
Workbench에 연결하기
※ ChatGPT가 알려주는 RDS
Amazon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는 AWS(Amazon Web Services)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RDS는 다양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MySQL, PostgreSQL, Oracle, SQL Server, MariaDB)을 호스팅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프로비저닝하고 설정하는 작업에서 해방되며, 대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운영, 확장, 보안 및 백업과 같은 많은 관리 작업을 AWS에 위임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과 특징:
1. 완전 관리형 서비스: RDS는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설치, 구성, 백업, 모니터링, 패치 및 업그레이드 등을 관리해주므로 사용자는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2.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 RDS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요구에 맞는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스케일링: RDS는 수평 및 수직 확장 옵션을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성능과 용량을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자동 백업 및 복원: RDS는 자동 백업을 지원하며, 원하는 시점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5. 보안: RDS는 데이터베이스 엔진 자체의 보안 기능 뿐만 아니라 VPC(Virtual Private Cloud) 내에서 실행되므로 네트워크 수준에서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6. 고가용성: RDS는 다중 가용 영역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하여 장애 발생 시에도 시스템의 가용성을 유지합니다.
7. 모니터링 및 경고: RDS는 클라우드와 연동되는 모니터링 도구와 통합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및 사용률을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8. RDS 프로비저닝 옵션: RDS는 온디맨드 프로비저닝 및 예약된 인스턴스와 같은 다양한 프로비저닝 옵션을 제공하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Amazon RDS는 다양한 유스케이스에 사용되며, 기존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데 유용한 서비스입니다.한번 GPT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봤어요 ㅎㅎ
계속 AWS를 하고 있지만 초기 세팅 및 간단한 방법만 알아가고 있다. 실제로 추후에 프로젝트에 사용하면서 수많은 오류를 만나면 더 AWS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거라고 생각한다.
728x90'[포스코x코딩온] 웹개발자 풀스택 부트캠프8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코x코딩온] 서버 및 클라우드 개념 (0) 2023.08.15 [포스코x코딩온] AWS- S3(단순 저장 서비스) (0) 2023.08.15 [포스코x코딩온] AWS-EC2 서버 설정(with Apache) (0) 2023.08.15 Cookie를 활용한 예시(모달창 생성 여부) (0) 2023.08.11 [포스코x코딩온] Cookie(쿠키), Session(세션) (0)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