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x코딩온] 서버 및 클라우드 개념[포스코x코딩온] 웹개발자 풀스택 부트캠프8기 2023. 8. 15. 18:42728x90
서버 구축
서버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장치를 의미
-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B%B2%84
서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클라이언트가 서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재단의 서버 뒤에서 볼 수 있는 오페라 서버 랙 서버(영
ko.wikipedia.org
[서버 가이드북] 1. 서버(Server) 란? (tistory.com)
[서버 가이드북] 1. 서버(Server) 란?
서버 '서버'란 도대체 어떤 것일까? 추상적으로 무엇인지는 알고 있겠지만, 우선은 사전적인 정의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서버 [Server] 1. 테니스, 탁구, 배구 등 서브를 하는 쪽, 또는 그 사
lipcoder.tistory.com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그림 한장으로 이해하기
※백엔드(Backend)와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 등)의 요청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늘 수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365일 24시간 다운되지 않고 전원이 켜져 있어야 함
- 서버가 다운되었다라는 의미
- 장애, 에러 등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 할 수 없는 상황
- 주로 리눅스(Linux)나 서버용 윈도우 운영체제(OS)를 사용
- CLI(Command Line Interface)환경에서 운영하는 것이 대부분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안전하게 응답만 하면 되기 때문에 GUI 환경이 필요 없을 뿐더러 컴퓨터는 GUI를 운영하는데에도 리소스가 소모됨.
프로토콜(Protocol)
2023.08.12 - [개념 정리] - 프로토콜(Protocol)이란?
프로토콜(Protocol)이란?
프로토콜(Protocol) 개념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정보의 송.수신측에서 정해 둔 통신 규칙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dongho-kang.tistory.com
※ HTTP 프로토콜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자원을 요청(request)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처리해서 응답(response)
서버 구축 방법
- 본인의 컴퓨터를 직접 서버로 구축하는 방법
- 일정 요금을 내고 외부 서버를 임대해 사용하는 방법
- 서버 호스팅
- 서버 한 대(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컴퓨터 한 대)를 통째로 임대하는 방법
- 자제적인 관리 필요
- 컴퓨터의 작동 환경을 마음껏 유동적으로 설정 가능
- 웹 호스팅에 비해 가격이 비쌈
- 웹 호스팅
- 서버 한 대의 일정 저장공간만을 임대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해당 서버를 공유하는 방법
- 서버 호스팅에 비해 가격이 저렴
- 서버 자체를 웹 호스팅 사에서 운영, 쉽게 이용이 가능함
- 트래픽, 용량 등 사용상의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Cloud)
- 언제,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환경
- Microsoft Office 365, Dropbox, Google Apps 등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서버,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 전체를 임대해주는 서비스
- 클라우드에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는 서비스
- 가상화 기술을 사용해 마음대로 서버를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함
- AWS, Microsoft Azure, GCP, NCP
가상화
- 클라우드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 실체가 없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
- 컴퓨터가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인 장치를 소프트웨어로 대체
- 메모리, 하드디스크, 운영체제(OS)등
클라우드 서버
- 실제 물리적인 컴퓨터 한 대로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아닌 VM(Virtual Machine, 가상 머신)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
-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서버)를 하나 생성해 이용하는 방법
- 내가 서버를 관리할 수 잇는 root권한을 가짐
- 장점
- 짧은 시간 안에 서버를 하나 뚝딱 만들 수 있다.
- 물리적인 컴퓨터의 한계를 넘어 무한대의 저장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 이론상 아무리 접속량이 많아도 다운되지 않는 서버를 만들 수 있다.
클라우드 유형
- 퍼블릭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버 or 호스팅 공급자가 소유하고 관리
- 사용한 만큼만 서비스 요금을 지불
-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 내부에서 센터를 만듦
- 조직이 서비스를 운영하며, 조직 외부 사용자 접근 불가능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해 애플리케이션이 가장 적절한 위치에서 실행되도록 함
AWS 관련 블로깅
2023.08.15 - [[포스코x코딩온] 웹개발자 풀스택 부트캠프8기] - [포스코x코딩온] AWS-EC2 서버 설정(with Apache)
[포스코x코딩온] AWS-EC2 서버 설정(with Apache)
AWS(Amazon Web Service) 현재 세계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로 손쉽게 클라우드 구축이 가능하다. Cloud Computing Platform EC2(Elastic Compute Cloud) 독립된 컴퓨터를 임대해 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dongho-kang.tistory.com
2023.08.15 - [[포스코x코딩온] 웹개발자 풀스택 부트캠프8기] - [포스코x코딩온] AWS-RD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포스코x코딩온] AWS-RD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AWS(Amazon Web Service)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AWS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AWS 측에서 모든 것을 관리해주고, 개발자가 개발만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종류 Amazon Aurora MySQL 및 PostgreSQL 호환 관계
dongho-kang.tistory.com
2023.08.15 - [[포스코x코딩온] 웹개발자 풀스택 부트캠프8기] - [포스코x코딩온] AWS- S3(단순 저장 서비스)
[포스코x코딩온] AWS- S3(단순 저장 서비스)
AWS(Amazon Web Service) S3(Simple Storage Service) 내구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스토리지 서비스 안전하고 가변적인 Object 무제한 저장공간을 제공 편리한 UI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디서나 쉽게 데이터를 저장
dongho-kang.tistory.com
728x90'[포스코x코딩온] 웹개발자 풀스택 부트캠프8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코x코딩온] JWT 인증 개념 (0) 2023.08.17 [포스코x코딩온]AWS를 통한 Node.js 프로젝트 배포 (0) 2023.08.16 [포스코x코딩온] AWS- S3(단순 저장 서비스) (0) 2023.08.15 [포스코x코딩온] AWS-RD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0) 2023.08.15 [포스코x코딩온] AWS-EC2 서버 설정(with Apache) (0) 2023.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