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개념 정리 2024. 11. 27. 10:52728x90
서버란?
-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른 컴퓨터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컴퓨터 시스템)
- 서버의 기능
- 데이터 저장 및 관리 :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 등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 네트워크 자원 관리 : 네트워크 프린트, 공유 폴더, 네트워크 드라이브
- 보안 및 인증
- 서버의 종류
- 랙 마운트형 서버
- 대규모 데이터 센터나 서버룸에서 공간 효율성과 확장성을 중시할 때 적합
- 초기 비용이 높고, 설치 복잡 / 장기적으로 관리와 확장이 용이
- 타워형 서버
- 소규모 사무실
- 사무실에 nas 용도
- 설치 관리 간단
- 일반 PC와 비슷하게 생김
- 랙 마운트형 서버
- 서버 하드웨어 구조
CPU 컴퓨터의 두뇌 / 자료의 연산과 비교를 처리하는 핵심 부품 RAM(Random Access Memory) 전원을 끄면 정보가 사라지는 휘발성 STORAGE NIC(Network Interface Controler)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컴퓨터에 있는 인쇄 회로 PSU(Power Supply Unit) 전원 공급 장치, AC-DC 변환기 FAN - 서버 소프트웨어
- OS(원도우, 리눅스, 맥)
- 원도우 : GUI 익숙 / 라이센스 비용 비쌈 / 커스터마이징 어려움
- 리눅스 : CLI라 불편 / 라이센스 비용 필요 없음 / 기술 지원이 어려움 / 커스터마이징 쉬움
- 웹 서버 소프트웨어(IIS, 아파치)
-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 마이크로소프트 원도우를 사용하는 웹 서버
- 원도우 OS에서만 실행
- 정형화된 뷰(시각적 창)에서 작업 하는 경우가 많아서 용이함
- 장점
- Windows 환경과의 완벽한 호환성
- Microsoft 제품군과의 쉬운 통합
-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 단점
- Windows 운영체제에서만 사용 가능
- 라이선스 비용 발생
- 오픈 소스 커뮤니티 지원 부족
- 아파치(Apache)
- 모듈식 구조로 기능 확장 가능
- 주로 포트 80(HTTP), 443(HTTPS) 사용
-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BSD, 리눅스, 원도우, 맥 등 호환됨)
- 장점
- 높은 안정성과 유연성
- 방대한 모듈과 플러그인 지원
- 다양한 플랫폼과의 호환성
- 단점
- 리소스 소모가 비교적 큼
- 동시 연결 처리 성능이 NGINX에 비해 다소 떨어짐
-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 OS(원도우, 리눅스, 맥)
DBMS
- RDMS(Relational DBMS)(ex. MSSQL, MYSQL, ORACLE)
- 행과 열을 가지는 표 형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의 DB
-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표현
-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구조 변경 쉬우며 SQL 언어를 사용한 데이터 조작 용이
- ACID 원칙 준수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
- Atomicity(원자성) : 트랜젝션과 관련된 작업들이 부분적으로 실행되다가 중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
- Consistency(일관성) : 트랜젝션이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언제나 일관성 있는 DB 상태를 유지
- Isolation(독립성) : 트랜젝션 수행 시 다른 트랜젝션의 연산 작업이 끼어들지 못하도록 보장
- Durability(지속성) : 성공적으로 수행된 트랜젝션은 영원히 반영되어야 함을 의미
- NoSQL(Not Only SQL)
- 키(Key)-값(Value)의 형태로 저장하는 DB, 키를 사용해 데이터 관리 및 접근
- 스키마 없음, 관계 없음
- 비정형 데이터(메신저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를 다룰 수 있음
- 높은 확장성과 가용성, 유연한 스키마를 가짐
- 데이터의 일관성이 항상 보장되지 않으며 기존 SQL과의 호환성이 낮음
가상화 소프트웨어
-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 위에서 여러 OS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함.
- 리눅스 베이스 -> Nutanix , Vmware
- 원도우 베이스 -> Hyper-V
- Vmware에 OS가 올라가기 때문에 리소스가 적고 파악하기 편하다. / 다만, 라이센스가 비싸다.
백업 소프트웨어
- Snapshot을 통해 백업 하는지, Agent를 심어서 하는지
- 물리서버의 경우 Agent
- 가상화 서버의 경우 Snapshot(데이터 전체를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의 데이터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방식)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 CloudWatch
- AWS 리소스와 AWS에서 실시간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
- SEI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 네트워크 전체 범위에서 로그를 수집, 저장 및 분석
- 종합적인 보안 보고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 관리와 함께 신속한 공격 탐지, 차단 및 응답을 위해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인프라 보안을 위한 이기종 정보, 이벤트를 수집하고 보안 위반에 대한 경보를 보여줌
- EMS(Enterprise Management System)
- 여러 기업과 기관의 IT서비스를 이루는 다양한 IT Infrastructure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 IT인프라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할 뿐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비즈니스의 가치 창출
- 데이터 센터, Edge, IaaS, PaaS 등에 존재하는 IT인프라 구성요소의 상태와 리소스 사용률을 수집하는 도구
-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 네트워크를 이용해 여러 장비들의 데이터를 수집해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총칭하며 SNMP, CMIP, RMON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
- SMS(Server Management System, 통합 서버 관리)
728x90'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tive Directory(AD, netbios와 dns 기반) (2) 2024.11.27 ICMP와 SNMP 분석 (0) 2024.11.27 TCP/IP , OSI 7계층, 소켓, 소켓 프로그래밍 정리 (0) 2023.08.28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0) 2023.08.19 Vi 명령어 모음 (0) 2023.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