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토콜(Protocol)이란?개념 정리 2023. 8. 12. 13:10728x90
프로토콜(Protocol)
개념
-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도록 미리 정보의 송.수신측에서 정해 둔 통신 규칙
-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통신 규약 또는 규칙에는 전달 방식, 통신 방식, 자료의 형식, 오류 검증 방식, 코드 변환 규칙, 전송 속도 등을 정하게 된다. 다른 기종의 장비는 각기 다른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데,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다른 기기 간 정보의 전달을 표준화할 수 있다.
기본 요소
- 구문(Syntax)
- 전송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함
- 의미(Semantic)
- 전송 제어와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함
- 타이밍(Timing)
- 두 개체 간에 통신 속도를 조정하거나 메시지의 전송 및 순서도에 대한 특성을 가리킴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 흐름제어(Flow Control)
- 네트워크 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송수신측 간에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및 속도를 규제하는 것이며, 정지 및 대기(Stop and Wait),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s) 방식을 이용
- 연결제어(Connection Control)
- 통신을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고, 종료하는 등의 작업을 제어하는 것
- 오류제어(Error Control)
-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하는 메시지나 제어 정보의 파손에 대비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것
- 순서제어(Sequencing Control)
- 데이터 전송 시 송신측이 전송하는 데이터들을 분할한 PDU(Protocol Data Unit)의 순서대로 수신측에 전달하여 순서를 결정하는 것
- 동기화(Synchorization)
- 통신하는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초기화 상태, 검사 전 상태, 종료 상태 등과 같이 명확히 정의된 상태를 서로 맞춰줌으로써 통신의 진행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
- 다중화(Multiplexing)
- 하나의 회선(혹은 전송로)을 다수의 주파수 대역이나 시간 간경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서 독립된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도록 빠르고 정확하게 통신로를 지원하는 것
- 주소 지정(Addressing)
- 송신측과 수신측의 주소를 설정하고 주소에 따른 메시지의 형태를 구분할 수 있는 것
이기적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참고하였습니다.
728x90'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 OSI 7계층, 소켓, 소켓 프로그래밍 정리 (0) 2023.08.28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0) 2023.08.19 Vi 명령어 모음 (0) 2023.08.16 IP주소와 도메인 (0) 2023.08.15 npm과 npx 비교 (0) 2023.08.09